<수술시간>
오전 10:30 ~ 12:00
오후 03:00 ~ 04:30
(수술시간에는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
(주차: 병원 옆 조치원주차타워, 1시간 무료, 점심시간 11:30~13:30 무료)
올리브 오일이 비만 유발?... '지방세포 과다 생성' 주의해야
올리브유 등 식물성 기름에 많이 들어 있는 올레산(oleic acid)이 지방세포를 늘리고, 내장지방을 증가시켜 비만을 유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지방 식단에 포함된 올레산이 지방세포의 전구세포를 빠르게 증식시키고, 체내 지방 축적을 촉진하는 신호(akt2)는 활성화하며 이를 억제하는 조절 단백질(lxrα)의 기능은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다양한 식물성 지방을 비교한 결과, 올레산이 지방세포 형성에 관여하는 유일한 식이성 지방산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다양한 종류의 기름(올리브유, 코코넛유, 땅콩유, 라드, 대두유 등)이 포함된 고지방 식단을 먹인 뒤, 지방세포가 얼마나 만들어지는지를 관찰했다. 실험 결과, 올레산이 많이 들어 있는 식단을 먹은 쥐에서 지방세포의 씨앗이 되는 전구세포(apc)가 빠르게 늘어나고, 실제 지방세포도 더 많이 형성됐다.
또한 올레산이 혈액 속에서 많아질수록 지방세포가 활발히 만들어졌고, 이 같은 경향은 인간 세포 실험과 대규모 건강 데이터(uk biobank) 분석에서도 확인됐다. 사람의 혈액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주로 올레산)이 많을수록 비만 위험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는 두 가지 신호 체계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올레산은 지방세포 생성을 촉진하는 'akt2' 신호를 켜는 동시에, 이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lxrα' 단백질의 기능은 떨어뜨렸다. 특히 올레산이 lxrα 단백질에 붙는 인산기를 제거해 제 기능을 못하게 만들면서, 지방세포가 더욱 쉽게 만들어지는 환경이 형성됐다.
연구의 교신저자인 매튜 s. 로데헤퍼(matthew s. rodeheffer) 예일대 교수는 "올레산은 단순한 에너지원이 아니라 지방세포 증식과 분화에 신호를 보내는 생리학적 조절 인자"라며, "올레산의 과도한 섭취는 지방조직의 과형성을 유도하고, 장기적으로 비만 및 대사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강을 위한 불포화지방산 섭취의 이점은 분명하지만, 고농도의 올레산이 대사 신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보다 정밀한 이해와 섭취량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식이 올레산은 lxrα 신호 조절을 통해 비만성 지방세포 생성을 유도함, dietary oleic acid drives obesogenic adipogenesis via modulation of lxrα signaling)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