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

전화 문의 안내

  • 044-868-0021
  • 전화예약가능
  • Fax. 044-868-0031
  • 평일 09:40 ~ 17:00
  • 목/토요일 09:40 ~ 12:30
  • 점심시간 12:30 ~ 14:20
  • 일/공휴일 휴진

<수술시간> 오전 10:30 ~ 12:00
오후 03:00 ~ 04:30
(수술시간에는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
(주차: 병원 옆 조치원주차타워, 1시간 무료, 점심시간 11:30~13:30 무료)

칼럼

  • 의료정보
  • 칼럼

제목

"실명질환 진단, 극단적 선택 위험 높여"...3대 실명질환의 초기증상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안과 질환을 진단받으면 자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안과 김영국 교수팀은 건강보험공단과 통계청 데이터를 활용해 2010~2020년 사이에 3대 실명질환을 진단받은 환자의 자살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실명 질환 진단과 자살 위험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3대 실명질환을 진단받으면 자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최초 진단 후 3~6개월 사이에 자살 위험 가장 높아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관찰 대상 280만 명 중 자살 사망자의 수는 1만 3,205명으로 확인됐으며, 이들 중 34%가 자살 전 3대 실명질환을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3대 실명 질환은 녹내장, 당뇨망막병증, 삼출성 황반변성을 말한다.연구팀은 3개 질환을 진단받을 경우 자살 위험도가 최대 1.4배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추산했다. 특히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가 저시력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자살 위험도가 1.49배로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함께 연구팀은 실명질환을 처음 진단받은 후 3~6개월이 된 시점에 자살 위험도가 5배로 가장 높아진다는 분석을 내놨다.연구진은 “의료진과 가족은 실명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스트레스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 관리하는 등 자살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강조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안과학'(ophthalmology) 최근호에 발표됐다.놓치면 안 될 ‘3대 실명질환’의 초기 신호는녹내장, 당뇨망막병증, 삼출성 황반변성이 3대 실명질환으로 꼽히는 이유는 초기 증상을 자각하기 어렵고, 치료 시기를 놓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어서다. 다만 자각하기 어렵다고 해도, 초기 증상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실명을 막기 위해 꼭 알아둬야 할, 3대 실명질환의 초기 증상을 알아본다.먼저, 녹내장은 시신경이 서서히 손상되면서 시야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때, 주변 시야의 손상이 먼저 오기 때문에 주변부 시야부터 서서히 좁아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드물지만 한쪽 눈으로 작업하거나 예민한 사람은 암점을 발견하기도 하며, 안압이 상승하여 일시적으로 두통이나 눈의 통증, 구토 등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당뇨망막병증은 대표적인 당뇨 합병증으로, 망막의 미세혈관이 손상되며 발생한다. 당뇨망막병증은 서서히 시력이 감퇴되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이 밖에도 눈앞에 먼지가 떠다니는 듯한 비문증, 사물이 삐뚤어져 보이는 변시증, 야간 시력 저하, 시야 흐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삼출성 황반변성은 노화에 의해 황반 밑에 비정상적인 혈관이 자라는 경우를 말한다. 초기에는 글자나 직선이 흔들려 보이거나 휘어져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가까이 있는 물체를 볼 때 비틀려 보이는 경우도 있다. 질환이 진행되면 사물의 가운데가 검거나 지워진 것처럼 보이지 않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다만, 세 질환의 이러한 증상들은 대개 초기에 자각하기 어렵고, 질환이 진행된 후에야 증상을 스스로 느끼는 경우가 대다수다.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눈 건강을 미리 돌보는 것이다. 3대 실명질환은 4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40세 이상 성인은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또 40세 이전이라도 가족력이 있거나 당뇨병, 눈 외상, 심혈관질환, 흡연 등 위험요소가 있다면 정기적으로 눈 검사를 받아야 한다. 아울러, 3대 실명질환을 진단받았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치료받는 것 역시 중요하다.